본문 바로가기

Git and Github5

github 여러가지 기능들(issues, project, milestone, discussion, etc) 21.03.15(+21.03.17) 1. Issues 프로젝트에 있어 하나의 작업 단위이다. title에는 작업 내용(커밋메세지 헤드)과 write란에는 description을 기재한다. 오른쪽 카테고리들에서 여러가지를 추가할 수 있다. assignees : 작업을 수행할 예정이거나 수행하고 있는 사람 label : 버그픽스, 문서수정 등의 태그. 중복선택 가능 project : 현재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의 칸반보드 선택 milestone : 현재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의 마일스톤 선택 이슈는 open과 close로 나누어진다 open : 현재 작업을 진행할 예정이거나 진행하고 있는 상태 close : 현재 작업을 모두 끝마친 상태 * Issue는 todo list와 같다. * Issue를 파놓는 습관.. 2021. 3. 16.
git non-fast-forward 오류 2021.03.11 1. 원인 git pull 없이 push하려 해서 그렇다 2. 해결 git pull origin master 후 git push를 시도하면 된다! 2021. 3. 11.
git 취소, 삭제 (revert, reset) 21.03.05 1. revert 커밋한 파일, 기능 삭제 후 삭제 커밋을 남김 git revert 커밋해시코드 2. reset 지금까지 작업했던거 날리고 특정 이전 커밋 환경으로 이동 해시코드 후의 커밋 다 사라짐 git reset 커밋해시코드 옵션 --soft : 이전이력을 날리지 않고 stage된 상태로 되돌림 --mixed : 이전이력을 working 상태로 되돌림 --hard : 그냥 모두 삭제 3. Add 취소하기 모든 staged된 파일 취소 git (--mixed) reset HEAD 특정 파일 취소 git reset HEAD 파일명 4. 커밋 취소하기 git reset HEAD^ 5. push 취소하기 git reset --hard git push origin main -f 6. pull.. 2021. 3. 6.
Git/github remote, branch, commit취소 21.02.04 1. remote repository 생성과 연결 remote repository는 원격 저장소를 뜻한다. working area, staging area, history는 컴퓨터에 종속적이다. 커밋 내역들을 인터넷에 백업/협업/오픈소스화를 목적으로 올리기 위한 장소이다. remote repository는 github홈페이지로 들어가서 새로 만들 수 있다. 1-1. remote와 local repo 연결하기 git remote add [remote별칭] [remote https 주소] * remote별칭이란 : 하나의 로컬 repo에 여러개의 remote를 연결할 수 있으므로 별칭이 필요하다. 기본값은 origin이다. ex) git remote add origin https://www... 2021. 2. 4.
Git/github 기초, init, log, status, add, commit, show, diff 21.02.03(21.02.04) 1. 깃이란 vcs(version control system, 버전 관리 시스템)이다. 버전 관리는 기록, 추적, 보관, 복원으로 구성된다. 깃의 저장소는 working tree, staging area(index), history로 구성되어있다. * 저장소 구성 working tree : 작업들의 변경사항을 추적한다. staging area : 작업이 완료된 파일들을 올려놓는 공간 history : 실질적 저장소 2. 깃 명령어 git init : 깃을 생성하는 명령어. working tree, staging area, history가 모두 생성된다. git add 파일명 : working tree에 있는 파일을 ataging area에 올리는 명령어 git statu.. 2021. 2. 4.